#2 재무제표의 개요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All Valuation 입니다.

 

저번시간에 회계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그 유명한 재무제표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회계는 경제적인 정보를 이해당사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측정, 분석하여 제공하는 tool 이라고 설명드렸죠?

재무제표는

측정하고 분석한 경제적인 정보를 담아내는 양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만 얘기하면 쉽죠?

 

그럼 IFRS (국제회계기준) 에서 말하는

 

재무제표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재무제표의 종류

 

1. 재무상태표

2. 포괄손익계산서

3. 현금흐름표

4. 자본변동표

5. 주석

 

이렇게 총 5가지에요.

 

아마 여기저기서 들어보셨거나, 보셨을거에요.

해당 내용은 회사의 사업보고서 안에 모두 들어있습니다.

삼성전자를 예를 들어서 볼까요??

 

2020년 1분기 삼성전자 사업보고서를 찾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이렇게 모든 재무제표 정보는 상장된 기업이라면 매 분기별로 공시하게 되어 있습니다.

 

재무제표의 연결고리

 

지금부터는 신기하면서도 중요한 얘기를 해볼게요

 

재무제표간에는 서로 연결고리가 있는걸 아시나요??

5개의 재무제표가 각자 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말그대로 레퍼를 맞출 수 있습니다.

(사실 감사보고서 발행할 때, 이 레퍼를 맞추는 풋팅 작업은 항상 회계사들이 하는 작업입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라는 계정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20년 1분기말 현금이 27,916,683 백만원이 있네요.

 

그럼 이 숫자를 다른 재무제표에서 찾아보겠습니다.

 

 

 

 

 

현금흐름표에 숨어 있었네요.

 

2020년 1분기 기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7,916,683 입니다.

 

근데,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삼성전자 재무제표 "주석"에도 현금 및 현금성자산 숫자를 찾을 수 있네요.

 

 

이처럼, 재무제표간에는 서로 연결고리가 있습니다.

큰틀에서는 회사가 1년간 벌어들인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의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들어옵니다..

 

지금은 여기까지만 말씀드리고, 

 

추후 각 재무제표를 설명드리면서 상세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각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을 하고 마무리할게요.

 

재무상태표 - 특정시점(저량)의 그 회사의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유명한 자산, 부채, 자본이 들어가 있는 정보표입니다.

 

손익계산서 - 특정기간(유량) 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매출, 매출원가 등 손익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현금흐름표 - 회사가 1년간 벌어들인 손익을 현금 관점에서 설명한 표입니다. 기업의 손익계산서는 현금주의가 아닌 발생주의(현금이 안들어왔어도 매출이 발생했으면 매출인거에요)로 되어있습니다. 그것을 현금관점에서 보여주는거에요

 

자본변동표 - 재무상태표에서도 "자본"이라는 항목이 1년동안 어떤 요인으로 변동했는지 보여주는 표입니다. 자본이 변동하는 요인에는 아까 말씀드린 회사가 1년간 벌어들이는 손익, 주식증자, 자기주식 취득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주석 - 앞서말씀드린 4가지 재무제표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을 기술해줍니다. 예를 들어, 차입금에 경우 어떤 은행에서 차입했으며, 금리는 몇%이고, 만기는 언제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좋은 하루보내세요

 

 

 

TAGS.

Comments